콘텐츠로 건너뛰기
» 장례식장 비용 절차 복장 알아보기(장지,상조회사,무빈소장,가족장,일반장)

장례식장 비용 절차 복장 알아보기(장지,상조회사,무빈소장,가족장,일반장)

    장례식장 방문은 대부분 준비 없이 갑작스러운 상황에서 맞게 되기 때문에 복장, 비용, 절차 등을 미리 알아두면 당황하지 않고 준비할 수 있어요.

    이 글을 통해 장례식장을 방문할 때 꼭 알아두어야 할 비용, 절차, 복장 정보를 상세히 알려드릴게요.

    장례식장 비용

    장례식 비용은 크게 장례식장 비용, 장지 비용, 상조회사 비용으로 구분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3일장을 진행할 경우 공설 장례식장은 약 275만 원, 전문 장례식장은 364만 원, 대학병원 장례식장은 약 427만 원이 드는데, 여기에 제수 음식비와 상복 등의 부대비용이 추가돼요.

    장지 비용은 화장(약 10만 원) 및 봉안당, 공설묘지 등의 장소에 따라 차이가 있어요. 상조회사에 따라서는 무빈소장이 150만 원, 가족장은 250만 원, 일반장은 350만 원 선으로 책정돼 있어요.

    경제적인 부담을 줄이기 위해선 사전 계약이나 필요한 서비스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해요.

    장례 절차

    장례식은 일반적으로 3일장으로 진행돼요.

    첫날은 고인의 안치 및 빈소 마련이, 둘째 날에는 조문과 추모의 시간이, 셋째 날에는 발인 후 장지로 이동해 고인을 안치하는 과정이 이어져요.

    절차에 따라 분향과 헌화를 하게 되는데, 이때는 조용히 고인의 영정에 예의를 표하고 유족과 짧은 대화를 나누는 것이 바람직해요.

    장례 절차에서 종교적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기독교, 천주교 등 고인의 신앙을 미리 알아두는 것도 중요해요.

    장례식장 복장

    장례식장에서는 고인을 예우하는 마음을 담아 검은색이나 어두운 색상의 정장을 입는 것이 일반적이에요.

    특히 복장은 지나친 장식이나 화려한 액세서리를 피하고, 피부 노출이 적은 단정한 스타일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고 해요.

    여름이라도 슬리퍼나 샌들보다 검은 구두를 신고, 가능한 긴 양말을 착용하는 것이 권장돼요. 남성은 넥타이정장을, 여성은 블라우스나 정장 원피스를 착용하는 것이 무난해요.

    조문 예절과 주의사항

    장례식장은 엄숙한 자리이기 때문에 조용하고 예의 바르게 행동해야 해요.

    입장 후 조문록에 서명한 뒤 상주에게 가볍게 목례를 하고, 빈소에 들어가서 고인의 영정에 분향 또는 헌화를 하며 마음을 표현해요.

    절을 할 때는 남자는 오른손을 위로, 여자는 왼손을 위로 해요. 조문이 끝난 후에는 조의금을 전달하며, 조의금은 보통 방명록을 작성할 때 미리 준비해 전달하기도 해요.

    최근에는 온라인으로도 송금하는 경우가 많아져서 유가족에게 문의하는 것도 방법이에요.

    주의할 점

    장례식에서는 유족의 감정을 배려하고, 지나친 대화나 웃음은 자제하는 것이 좋아요.

    또한, 휴대폰은 무음으로 설정해 두고 불필요한 사용을 피해야 해요.

    장례 절차에 따라 발인 후 집에서 초우제, 재우제, 삼우제 등 고인을 기리는 의례가 진행될 수 있으니, 이를 이해하고 참여하면 유족에게 큰 위로가 돼요.

    실제 사례와 추가 팁

    제 지인은 장례식장을 처음 방문했을 때, 적절한 복장과 조문 절차에 대해 몰라 당황한 경험이 있어요.

    이런 경우 미리 정보를 알고 있거나 상조회사를 통해 도움을 받으면 많은 도움이 된다고 해요.

    상조회사와 계약할 때는 서비스 내용과 예상 비용을 꼼꼼히 확인해 불필요한 비용을 줄이는 것도 좋은 방법이에요.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주변에 공유해 보세요.